여러분 안녕하세요! 최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로 글로벌 자산시장이 연일 하락하며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요. 특히 엔 달러 환율이 147엔 후반에서 145엔대까지 급격히 떨어지며, 초엔저 현상이 조금 완화되는 모습이죠. 저처럼 일본에 거주하는 입장에서는 엔화 가치가 이전처럼 1달러 110엔 수준으로 회복되길 바라는 마음이 큰데요. 솔직히 110엔은 욕심인 것 같고 우선은 130엔대 까지만 진입해 줘도 숨통이 조금은 트일 것 같아요. 오늘은 이번 상호관세 발표가 세계 자산시장에 미친 영향, 엔 달러 및 주변국 환율 변동, 일본의 금융·재정정책 방향등에 대해 구독자 여러분께 알기 쉽게 전달해 볼게요!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상호관세 정책을 발표하며 모든 수입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고, 일본(24%), 한국(25%), 중국(34%), EU(20%) 등에 추가 관세를 부과했어요. 4월 3일부터는 자동차에 25% 추가 관세도 발효됐죠. 이로 인해 글로벌 자산시장이 큰 충격을 받았어요. 일본 닛케이 평균주가는 4월 3일 989엔 하락해 34,735엔으로 마감하며 8개월 만에 35,000엔 아래로 떨어졌고, 4일에는 33,800엔대까지 내려갔어요. 미국 다우 지수도 1,600달러 넘게 하락하며 글로벌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졌죠. 제트로 아시아경제연구소는 2027년 세계 GDP가 0.6% 하락하며 약 112조 엔의 손실이 발생할 거라 예측했어요. 특히 미국은 인플레이션과 경기 후퇴가 동시에 오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EU와 중국도 각각 경제 성장률이 0.3%, 1.5% 하락할 거란 전망이 나왔어요. 일본도 GDP가 0.7% 하락하며 마이니스 성장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죠. 이런 상황에서 투자자 심리가 위축되며 자산시장이 계속 흔들리고 있어요.
상호관세 발표 후 달러-엔 환율은 147엔 후반에서 145엔대까지 급격히 하락했어요. 이는 미국의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 우려로 장기금리가 하락하며 달러 약세가 나타난 영향이 커요.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최근 경기침체 우려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안전자산인 채권으로 자금이 몰리며 달러화 가치가 떨어진 결과로 이어졌어요. 한국 원화도 영향을 받고 있어요. 반면, 중국과 EU는 관세 충격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이 상승하며 자금이 미국에서 이탈하는 모습이에요. 결국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미국 경제에 부담을 주며 달러 신뢰도가 흔들리고 있다고 말할 수 있어요. 하지만 트럼프는 과거부터 달러 강세를 싫어했고, 일본의 엔화 약세를 비판하며 관세로 압박해 왔죠. 이런 상황에서 엔화 가치는 단기적으로 더 오를 가능성이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일본 경제의 구조적 문제와 글로벌 무역 전쟁의 영향으로 변동성이 커질 거예요.
일본은 이번 관세로 경제적 타격을 입으며 금융·재정정책 방향을 조정해야 할 상황이에요.
일본 정부가 원하는 이상적인 환율은 1달러당 110~120엔 수준으로 알려져 있어요. 이는 수출 기업의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인한 가계 부담을 줄일 수 있는 균형점으로 여겨지기 때문이에요. 현재 146엔대인 환율은 초엔저 상태로, 일본은행(BOJ)과 정부는 엔고를 선호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조정하고 있어요. 초엔저는 수출 기업에 유리하지만, 수입 물가 상승으로 물가가 오르고 가계 소비가 위축되는 부작용이 크기 때문이죠. 일본은행은 최근 금리 인상을 통해 엔화 가치를 끌어올리려 하고 있으며, 2025년 1분기 기준 단기금리를 0.25%에서 0.5%로 올렸고 이는 17년 만의 금리 수준이라고 해요. 전문가들은 2027년까지 130엔대 회복이 현실적인 목표라고 전망하며, 110엔대는 장기적으로 구조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어요.
일본에 거주하며 초엔저로 인한 인플레이션을 온몸으로 체감하고 있습니다. 이번 상호관세로 엔화 가치가 조금 회복된 건 반갑지만, 아직 갈길은 먼 것 같습니다. 사실 저는 엔을 달러로 바꿔 미국주식에도 투자를 하고 있어요. 엔이 조금씩 가치를 회복한다면 어쩌면 지금부터가 미국주식을 싸게 살 수 있는 기회가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세상이 흘러가는 큰 줄기는 우리 개인이 바꿀 수 없지만 그 안에서 우리가 할 수 있는 더 좋은 선택은 분명 있을 것이라고 생각해요. 여러분은 이번 관세와 환율 변동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이 느끼시는 경제적 변화나 대응 방안이 있다면 댓글로 나눠주세요. 감사합니다.